왕이 사람에게서 쫓겨나서 들짐승과 함께 거하며 소처럼 풀을 먹으며 하늘 이슬에 젖을 것이요 이와 같이 일곱 때를 지낼 것이라. 그 때에 지극히 높으신 자가 인간나라를 다스리시며 자기의 뜻대로 그것을 누구에게든지 주시는 줄을 아시리이다. 또 그들이 그 나무 뿌리의 그루터기를 남겨 두라 하였은즉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줄을 왕이 깨달은 후에야 왕의 나라가 견고하리이다. (단 4:25-26)
느부갓네살왕.
바벨론 제국의 2대 왕.
애굽을 무너뜨리고 제국을 확장시킴으로 명실상부한 대제국을 다스리는 황제.
天上天下唯我獨尊(천상천하유아독존)의 지상 절대자.
모든 인간의 두려움의 대상이며 부러움의 대상.
하나님께서는 스스로 높아질 대로 높아져 있던 그에게 꿈을 꾸게하시고, 그것을 통해서 그를 낮추신다. 자기 위에 어느 인간도 있을 수 없는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그였지만, 그가 자신보다 비교도 되지 않게 높으신 하나님, 이 우주의 절대자이신 그분이 결국 "인간나라를 다스리시며 자기의 뜻대로 그것을 누구에게든지 주시는" 분인 하나님을 알고 그분 앞에 겸손하지 않는다면, 그것을 알게 될 때까지 낮추실 수 있는 분이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 주셨고, 실재로 7년 동안 그를 짐승과 같은 처지에 처하게 하심으로 그를 낮추셨다. 그것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그에게 보여주시기를 원하셨던 것은, 그 절대권력이 결코 자신이 성취한 것이 아니요, 하늘의 하나님께서 당신의 기쁘신 뜻을 따라 잠시 그에게 맡긴 것이라는 것을, 그래서 그 모든 것의 원천이 되시는 하나님을 경외할 것을 가르치기를 원하셨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금 나 느부갓네살이 하늘의 왕을 찬양하며 칭송하며 존경하노니 그의 일이 다 진실하고 그의 행하심이 의로우시므로 무릇 교만하게 행하는 자를 그가 능히 낮추심이니라.(단 4:37)
험한 7년의 세월을 통해서 하나님의 낮추심을 경험한 느부갓네살왕의 결론은 7년의 고통이 아깝지 않은 교훈을 얻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는 "하늘의 왕" 앞에서 겸손을 배웠다.
겸손...
그것은 하나님을 세상의 주권자로 인정하고, 모든 것이 그분으로부터 나왔다는 것, 그리고 그 분 앞에 나는 그분께서 기쁘신 뜻을 따라 부르시고 쓰시는 종일 뿐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물론 지극히 선하시고, 나를 사랑하시는 그분이시기 때문에, 나를 단순히 폐기처분 가능한 도구로 사용하시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내 스스로의 주인이 되거나, 하나님이 아닌 다른 존재/것을 하나님의 자리에 놓는 것은 겸손이 아니라 교만이다.
세상의 패권을 거머줬던 느부갓네살에게만 겸손이 필요한 것일까? 나처럼 아무 가진 것도 없고, 능력도 없는 자, 세상에 내세울 것이 없는 자는 하나님께서 그토록 찾으시는 겸손의 덕목을 이미 충분히 갖추고 사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느부갓네살 앞에서는 한 없이 작아지고 스스로를 낮출 수 밖에 없는 나이지만, 오히려 하나님 앞에서는 그렇지 못한 내 모습을 자주 보게 된다. 하나님께서 너무 크시고 위대하셔서 내 좁은 시야에서 그분을 담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것일까? 세상에서는 두려운 사람들이 너무 많은데, 왜 정작 하나님을 두려워 하는 마음은 찾아보기 힘들까? 왜 세상의 권세자들, 잘나가는 사람들 앞에서는 한 껏 겸손한데, 하나님 앞에서는 목을 꼿꼿이 세우고 머리를 숙이지 못할까?
겸손하지 못함에 있어서 내가 느부갓네살보다 덜하지 않는 것을 늘 보게 된다. 하나님께서는 느부갓네살을 통해서 나에게 엄히 명하신다.
"겸손하라!"
섬기는 일로 매우 마음이 아픈 지금...
마음에서 솟아나는 분노가 나를 휩싸려고 하는 지금...
하나님께서는 내 심중에 엄히 명하신다.
"겸손하라!"
"Lord, I'm nothing, and You--only You--are the King!"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이 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