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iam Foxwell Albright

William Foxwell Albright...
1891년에 태어나서 1971년에 죽은 이 시대의 위대한 학자 중의 학자...
그의 학문적 위치에 비견될 만한 20세기의 유일한 인물은 아인슈타인이다. Albright는 고고학계에서 다른 어떤 누구와도 비교될 수 없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었다. 그에게 늘 따라다니는 genius라는 수식어는 그의 이름에 붙여졌을 때에야 비로소 그 의미가 생생하게 살아 있는 단어가 될 만큼 그는 뛰어난 학자였다. 그가 죽고난 후 4년 뒤에 그의 가장 가까운 제자들에 의해서 쓰여진 책 제목도 인상적이다. William Foxwell Albright: A Twentieth-Century Genius(1975)

고고학계에서 그의 업적과 그의 이론은 그가 죽을 때까지 그 어느 누구도 감히 도전할 수 없는 성역이었다. 그가 죽고난 후에야 매우 조심스럽게 그의 연구 업적에 대해서 minor한 도전이 있어 왔지만, 그의 위치는 전혀 흔들림이 없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고고학 중에서 그의 전공분야는 Middle East였고, 특히 성경 고고학에 있어서 대가였다. 그는 중근동 지방의 거의 모든 언어를 완전히 마스터했고, 그 지역의 고고학적인 지식을 거의 모두 섭렵했다.
그 방대한 지식과 학문적인 엄격함을 가지고, 성경의 유효성에 대해서 깊은 연구를 거듭했다. 그의 가장 큰 없적 중의 하나는 19세기 독일에서 시작된 High Criticism과 Low Criticism의 경향을 완전히 무효화시킨 것이라 하겠다. 사실 그 두 가지 본문비평은 성경을 고대 신화와 역사를 짜집기한 하나의 교훈집으로 평가절하했었다. 하지만 Albright는 그 주장을 완전히 뒤엎은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책인 William Foxwell Albright: A Twentieth-Century Genius에서 제자들은 말한다. "Dr. Albright does not believe that 'every word (in the Bible) was written by the hand of God. The Bible was written by human beings, and is the Word of God through man.'"

성경의 권위에 대한 보다 더 분명한 Albright의 입장은 다음과 같다.
(Albright가 한 말)"Considering everything, the Hebrew Bible is the most extraordinarily accurate record because of the empirical attitude of the Israelites, from Moses on, to matters of fact. It's an extraordinary record of human experience."

세상은 성경을 쉽게 비판한다. 그리고 그 비판은 대부분 근거가 매우 빈약하다. 심지어 학자들조차 학문적 엄격성을 결여한 채, 성경을 폄하한다. 이에 대해 Albright는 신랄한 비판을 가했다. 그가 죽던 해인 1971년에 발간된 The Anchor Bible: Matthew (S. S. Mann와 공저)의 서문에 그의 비판이 잘 드러나 있다.

For much too long a time the course of New Testament scholarship has been dictated by theological, quasi-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presuppositions. In far too many cases commentaries on NT books have neglected such basic requirements as up-to-dat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text itself. In many ways this preoccupation with theological and metaphysical interpretation is the unacknowledged child of Hegelianism. To this should be added the continuing and baleful influence of Schleiermacher and his successors on the whole treatment of historical material. The result has often been steadfast refusal to take seriously the findings of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research. We believe that there is less and less excuse for the resulting confusion in this latter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Closely allied with these presuppositions is the ever present fog of existentialism, casting ghostly shadows over an already confused landscape. Existentialism as a method of interpreting the New Testament is based upon a whole series of undemonstrable postulates of Platonic, Neo-Platonic, left-wing scholastic, and relativistic origins. So anti-historical is this approach that it fascinates speculative minds which prefer clichés to factual data, and shifting ideology to empirical research and logical demonstration.

세상은 하나님을 싫어한다. 증오한다.
따라서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듣기 싫어하고, 그 말씀을 부담스러워 한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학문적 엄격성을 가지고 접근한다면 가볍게 치부할 수 없는 책이라는 것을 분명히 알 수 밖에 없는데도, 그들은 그런 노력을 기울이려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아니, 의도적으로 그것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Albright와 같은 위대한 천재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학문적 지식과 엄격성으로 접근한다 하더라도 결코 무효화 할 수 없는, 그래서 그 천재를 무릎꿇게 하는 그런 책이 바로 성경이다.

세상이 그 무엇이라고 성경을 폄하해도,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이 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