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부를 맡아 섬긴 이후 매주 토요일은 거의 빠짐없이 말씀을 전한다. 정식 신학교육도 받지 않은 평신도에 불과한 내가 하나님의 말씀을 들고 나아가 설교한다는 것은 참으로 부담스러운 일이다. 설교 훈련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것도 그 부담의 한 원인이 되지만, 그것보다는 말씀을 전하고 섬기는 것 외에 일상의 삶에서 내가 감당해야할 학업 때문에 충분하게 말씀 준비에 시간을 쏟지 못한다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학업도 하나님께서 나에게 맡기신 중요한 사명이기 때문에 소홀히 할 수 없고, 또한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의 역할(비록 매우 만족스럽지 못한 수준이지만...)도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말씀 준비에 상당히 큰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인지, 말씀 준비하는 시간 만큼은 모든 것을 뒤로하고 말씀 준비에 전념한다. 물론 일주일 내내 말씀의 주제를 선정하고 묵상하는 시간을 갖지만, 본격적으로 원고를 준비하는 시간만큼은 완전히 말씀 준비에만 올인한다. 절박한 심정으로, 하나님께 간구하며, 그분이 사랑하는 청년부 공동체에 주시는 말씀이 무엇인지 예민하게 살피고, 그것을 글로 정리한다. 거의 하루 온 종일 꼬박 걸리는 작업이지만, 늘 시간이 부족함을 느낀다. 뭔가 준비가 부족한 느낌... 그것이 내가 말씀을 전하러 나가기 직전에 항상 느끼는 아쉬움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약 200번에 가까운 설교말씀을 전하는 동안 거의 항상 그 부족한 부분은 하나님께서 친히 채워 주셨다. 아니, 넘치도록 채우고도 남음이 있음을 경험해 왔다. 결국 말씀의 준비는 내가 하지만, 말씀을 전하게 하시고, 그 말씀의 내용을 내 입술에 담는 것은 내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 당신임을 그 누구보다도 절절히 느낀다. 그것이 말씀 전하는 자리에서 느끼는 은혜이다.
청년부를 떠나간 지체들, 그리고 여행 중에 있는 지체들로부터 내 설교를 녹음해서 웹에 올리거나 자신들에게 보내달라는 부탁을 종종 받는다. 그럴 때마다 내 답은 "무반응"이다. 물론 언젠가부터 내 설교는 녹음되어 보관되고 있다. 마음만 먹는다면 설교를 웹에 올리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나는 그들의 요구를 들어주는 것에 있어서 주저하는 마음이 있다. 나는 말씀을 준비하면서, 그리고 말씀을 전하기 직전에 우리 청년부 공동체에 주실 하나님의 말씀을 달라고, 그리고 그 말씀을 들어야 할 모든 자들을 하나님께서 그날의 예배의 자리에 있게 해달라고 기도한다. 사실 내 이 기도가 내 말씀을 웹에 올리거나 다른 곳에 있는 지체들에게 보내는 것을 주저하게 만드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의 공동체인 어스틴 한인침례교회의 청년부 소속의 지체들이 교회 예배당이라는 물리적 공간에 모여서 함께 예배드리는 그 참석 인원들을 대상으로 말씀을 주신다.
나는 어떤 경우에도 말씀을 준비하면서, 특정한 사람을 타겟으로 말씀을 준비하지 않는다. 그것은 결코 덕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말씀 준비가 끝나고 예배를 위해 기도하면서, 그 말씀 주제를 떠 올릴 때, 꼭 그 말씀을 들었으면 하는 지체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경험상으로 볼 때, 내가 기도하는 가운데 떠 올리는 지체들이 그 말씀이 전해질 때 정작 그 자리에 없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하나님께서 내 기도를 듣지 않으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과 내 뜻은 그 만큼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나는 하나님께서 매 예배 때마다 말씀을 주시고, 그 말씀을 꼭 들어야할 지체들을 어김없이 예배의 자리로 인도하신다는 것을 믿는다. 어떤 이유에서건, 하나님께서는 그 예배에 참석하지 않은 지체들에 대해서는 그 말씀을 들을 때가 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시는 것이다. 그분의 종으로 섬기는 나로서는 내 생각을 앞세우기보다는 주인의 뜻에 온전히 순종하고 따르는 것이 바른 태도이다.
나는 인터넷에 너무나 많이 떠도는 설교들에 대해서 경계하며, 걱정하는 마음이 있다. 물론 인터넷에 너무나 훌륭한 설교자들의 설교를 들으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지만, 그것이 진정으로 나에게 하나님의 엄위하신 말씀으로 받아들여질지, 그리고 그 "훌륭하신" 설교자들의 설교에 익숙해진 귀가,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목사님을 통해서 전해지는 주일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고, 그 말씀에 무릎꿇을 수 있을지... 그것이 가장 걱정이 된다.
(말씀 묵상이나 다른 경로가 아니라 설교를 통해서 전해지는) 하나님의 말씀은 내가 속한 공동체가 드리는 예배를 통해서 전해지는 말씀의 선포를 통해 나에게 전달된다고 나는 굳게 믿는다. 내가 속한 교회의 목사님이 아무리 형편없는 설교를 한다 할지라도, 하나님께서는 그 교회를 세우셨고, 그 교회의 영적 리더로 당신의 목자를 세우셨다는 것을 분명히 기억할 필요가 있다. 하나님께서는 그 목자에게 특별한 영적인 리더십과 능력을 주시고, 그를 통하여 나에게 말씀하신다. 그 선포되는 말씀 속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어야 하며, 그 음성을 듣고자하는 겸손한 자세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그것이 하나님 앞에 바른 신앙을 하는 자세인 것이다.
인터넷에 떠도는 많은 설교들은 그 설교가 일차적으로 전해진 그 공동체에 주신 말씀이다. 그 말씀을 진정으로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그 공동체에 소속이 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 외의 경우에는 단순히 지식차원에 머무는 경우가 많고, 많은 경우 자신이 속한 교회의 목회자의 설교를 비교 평가하고 비판하는 데 사용된다. 그것은 자신에게 매우 해가 될 뿐이다.
물론 인터넷을 통해서 들을 수 있는 설교를 전혀 듣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다만, 자신의 교회에서 하나님의 종을 통해서 선포되는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고, 그 말씀에 아멘으로 화답하며 그 말씀이 삶 가운데 역사하며 그 말씀에 인도함을 받는 신앙생활을 하고 있지 못하다면, 인터넷을 통해서 듣는 그 설교가 아무리 은혜롭고, 거기에서 많은 도전을 받는다 할지라도, 결국에는 영적인 독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는 청년부를 떠난 지체들이 자신이 속한 교회의 목회자를 통해서 선포되는 말씀에 집중하기를 바란다. 하나님께서는 그 말씀 가운데 충분한 메시지를 이미 담아 두셨다. 그 말씀을 듣고 그 말씀에 순종해서 살아가기도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 교회에서 같은 말씀을 들은 다른 믿음의 지체들과 연합하며, 그 말씀을 중심으로 믿음의 삶을 살며 믿음의 진보를 이루는 것이 가장 건강한 것이다.
그렇게 볼 때, 거기에 내 설교가 끼어들 여지가 없으며, 필요도 없다는 것이 내 확신이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이 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