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므로 이제 내 종 다윗에게 이처럼 말하라 만군의 여호와께서 이처럼 말씀하시기를 내가 너를 목장 곧 양을 따르는데서 취하여 내 백성 이스라엘의 주권자를 삼고 네가 어디를 가든지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 모든 대적을 네 앞에서 멸하였은즉 세상에서 존귀한 자의 이름 같이 네 이름을 존귀케 만들어 주리라."(삼하 7:8-9)
하나님께서는 유다 지파의 한 작은 고을 중 한 집안의 막내 아들로 태어나서 허드렛일을 하며 심부름꾼으로, 또 당시 가장 천대 받는 목자로 집에서 종처럼 일하고 있던 다윗을 지명하시고, 그에게 기름부으셔서 왕으로 불려 주셨다. 다윗의 이름은 천하에 존귀한 이름이 되었고, 그처럼 복받은 자가 이 세상에 없었으며, 오실 메시야가 "다윗의 자손"으로 불리우는 엄청난 영광을 누렸고, 실제로 그의 혈통을 좇아서 메시야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오셨다.
그가 하나님 앞에서 극악한 죄를 범했을 때에도 하나님께서는 사울을 버리신 것처럼 그를 버리시지는 않으셨다.
"나는 그 아비가 되고 그는 내 아들이 되리니 저가 만일 죄를 범하면 내가 사람 막대기와 인생 채찍으로 징계하려니와 내가 네 앞에서 폐한 사울에게서 내 은총을 빼앗은 것같이 그에게서는 빼앗지 아니하리라."(삼하 7:14-15)
어찌보면 인간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하나님의 지극히 심한 편애이다. 사울은 비록 하나님 앞에 죄를 범하기는 했어도, (적어도 인간적 관점으로 봤을 때는) 다윗처럼 파렴치한 죄를 범하지는 않았다. 블레셋과 대치할 때, 군대의 사기가 점점 떨어져 가고 있고 소집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래처럼 많은 블레셋 군사들과 그들의 뛰어난 병기를 보면서 두려워 하는 가운데 하나 둘씩 도망가고 있는 상황에서, 그나마 그들을 종교적으로 결집시켜줄 수 있는 사무엘은 온다는 시각에 오지 않고 지체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급한 마음에 왕인 자신이 직접 제사를 드림으로써 군사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기를 원했던 것 뿐이다.
아말렉을 진멸하라는 명령을 받고 출전하여 말 그대로 아말렉을 완전히 진멸하고, 가축까지 도살했지만, 그 힘든 전쟁을 치렀음에도 불구하고 그럴듯한 전리품 하나 챙겨가지 못한다면 군대의 사기와 이스라엘 백성 앞에서 뭔가 보일 것이 없다는 생각에, 하나님께 가장 좋은 것을 드리고, 그 왕을 사로잡음으로써 함께 출전한 군사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그들로 하여금 자부심을 가지게 하고자 아말렉의 왕을 사로 잡고, 제사 드리기에 너무 적합한 가축들을 몇 마리 끌고 왔을 뿐이었다.
반면, 다윗은 자기의 가장 충성된 신하 중의 한 사람의 아내를, 그것도 자신의 장수들이 모두 전장에 나가고 자기 혼자 왕궁에 남아 있는 상황에서, 그 여자를 범했고, 그것을 덮으려고 온갖 꽁수를 썼었고, 그것이 실패하자 무자비하게 그 충성스런 장군을 모살했으며, 그것에 만족하지 않고, 그 여자를 끝내 자신의 아내로 (이미 몇 명의 아내들이 있었음에도) 취하고 마는 뻔뻔한 자였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이루어 주신 이스라엘의 강성함을 자신의 자랑으로 삼으며, 인구조사를 하며 세금을 부과하려는 죄악 가운데서 수 많은 자신의 백성들이 죽임을 당하는 벌을 받게 했던 형편없는 리더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울을 왕위에서 폐하셨던 하나님께서 다윗을 폐위하지 않으신 것은, 전적으로 그분의 사랑이고 그분의 은혜이다. 물론 다윗의 중심에 하나님을 사랑하는 열정과 마음이 있었고, 사울에게는 하나님의 말씀을 경홀히 여기고 하나님 섬기는 마음이 없었던 것을 그 원인으로 들 수 있겠지만, 그 이전에 하나님께서 다윗을 그 종으로 택하시고, 그의 종으로 삼으신 하나님 편에서의 일방적인 사랑이 있었기 때문에 역사에 길이 남을 위대한 왕이 되었던 것이다.
"나의 힘이시여! 내가 주께 찬송하오리니 하나님은 나의 산성이시며 나를 긍휼히 여기시는 하나님이심이니이다!"(시 59:17)
그리스도인으로 부름받는 나... 나 또한 다윗보다도 더 악한 자이고, 다윗보다도 더 비열한 자이고, 다윗보다도 더 뻔뻔스러운 자이지만,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은혜 아래, 십자가의 은혜를 알게 되었고, 죄용서를 받았고, 거룩한 삶을 갈망할 수 있는 자로 세우심을 받았다. 내 삶에서 행해진 수 많은 악들을 생각할 때, 나 또한 사울처럼 버림받아 마땅한 자임을 생각할 때 하나님께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인자야 포도나무가 모든 나무보다 나은 것이 무엇이랴? 삼림 중 여러 나무 가운데 있는 그 포도나무 가지가 나은 것이 무엇이랴? 그 나무를 가지고 무엇을 제조할 수 있겠느냐? 그것으로 무슨 그릇을 걸 못을 만들 수 있겠느냐? 불에 던질 화목이 될 뿐이라 불이 그 두 끝을 사르고 그 가운데도 태웠으면 제조에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그것이 온전할 때에도 아무 제조에 합당치 않았거든 하물며 불에 살라지고 탄 후에 어찌 제조에 합당하겠느냐?"(겔 15:2-5)
목재로서 아무짝에 쓸모 없는 포도나무와 같던 나를 당신의 자녀 삼아 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 또 감사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