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내가 속한 믿음의 공동체의 머리도 그리스도가 되셔야 한다. 하나님께서 분명하게 주인이 되셔야 한다.
그런데... 과연 그런가?
내 교회, 내 신앙 공동체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인다고 해서, 모여서 찬양하고 기도하고 말씀을 듣고 공부한다고 해서, 그분이 공동체의 주인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래야 할 것 같은데... 당연히 주님의 공동체여야 할 것 같은데... 실상 이 땅 가운데 있는 믿음의 공동체의 모습을 볼 때, 과연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인되신 것이 맞는지 의심이 들 때가 "정말" 많다.
진정으로 그리스도께서 주인이 되신 공동체라면 어떤 모습일까? 누가 보든지간에, 그리고 그 누구보다도 하나님 당신께서 당신의 공동체라고, 당신이 주인되시는(정확히 말해서 주인대접 받으시는) 공동체라고 인정하시는 공동체는 어떤 특징들을 가지고 있을까?
내 스스로 자주 질문하고 묵상하지만, 사실 나도 정확하게 잘 모르겠다. 하지만 묵상하는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확실하게 깨달은 것은 하나님께서 주인대접을 받으시는 진정한 주님의 공동체는 주님의 종들이 사역하는 곳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섬기는 모든 자들이 철저하게 주님의 뜻을 구하고, 그 뜻만을 구하는 가운데 순종하는 공동체라는 것이다.
섬기는 자들이 진정으로 종이 되어 있을 때만 주님은 주님으로 대접받으실 수 있다. 이 점은 신앙공동체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중요한 점이다.
최근에 내가 속한 공동체에서 영적 리더들을 선발하고 있다. 절차는 간단하다. 현재 영적 리더로 섬기고 있는 지체들이 일정기간 기도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뜻을 구한다. 그리고 기도하는 가운데 하나님께서 부르신다는 확신이 있는 지체들만, 부장인 나에게 추천한다. 그 추천을 받는 나 또한 일정 기간 동안 기도하는 가운데 추천된 지체들이 진정으로 하나님께서 부르시는 자들인가를 점검한다. 그 어느 누구도 하나님께서 부르신다는 확신이 없다면 리더로 설 수 없다. 부장인 내가 일정기간 기도하면서 구하는 가운데 분명한 확신이 드는 지체들에게 개별적으로 통보하여 그들로 하여금 다시 일정기간 동안 기도하면서 하나님께 여쭤보게 한다. 그 기간 동안 해당 지체들은 그 어느 누구에게도--부장인 나를 포함해서--그 사실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없고, 상의할 수 없다. 순전히 개인이 하나님과 독대하는 가운데, 하나님으로부터 분명한 부르심의 확신이 있어야만 한다. 그 부르심의 확신이 있는 사람만 영적 리더로 섬기겠다고 답변할 수 있다. 부장인 나에게 통보하는 것으로 모든 절차가 끝난다. 그 어느 경우에도 설득이나 권유는 없다.
이 프로세스는 내가 부장으로 섬기면서 정착시킨 것이다. 이 프로세스의 핵심은, 하나님의 뜻이고, 그에 대한 순종이다. 그것은 우리 공동체의 주인이 하나님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믿음의 고백이다.
현재 기존의 리더들이 해야할 일들이 모두 끝나고 이제는 내가 기도하는 차례다. 청년부를 섬기고 있는 부장으로서 가장 어려운 것 중의 하나는, 이 과정 중에서 내 생각, 판단, 경험, 선호함을 내려 놓는 것이다. 누군가를 미리 생각하거나, 필요한 리더의 숫자를 미리 생각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내 안에 먼저 내려 놓는 작업이 되지 않으면 기도할 수가 없다. 사실 기도의 많은 부분은 나로 하여금 내 생각을 내려 놓도록 하나님께 구하는 것이다.
만약 내가 보기에 좋은 사람, 내가 보기에 할 만한 사람, 내가 좋아하는 사람을 리더로 선발한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공동체에서 일할 하나님의 종을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내 사람을 심는 것이다. 그렇게 될 경우 이 공동체는 더 이상 하나님의 공동체가 아니라 내 공동체가 된다. 내가 사역하기에는 편할지 모르지만, 이미 하나님 앞에 큰 죄를 짓는 것이기 때문에, 하나님의 역사를 기대할 수가 없게 되어버리고 만다. 그렇게 될 경우, 섬기는 사역은 하나님의 일이 아니라 나의 일이 되어버릴 수 밖에 없고, 그렇다면 그 엄청난 짐을 나 혼자 지고 가야 한다. 그것은 매우 어리석은 일이다. 나는 이 공동체를 섬기는 짐을 질 능력이 없는 자라는 것을 너무 잘 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직접 일하셔야만 하고, 나는 그분의 종으로서 시키시는 대로 할 뿐이다. 나에게는 이 공동체에 대한 책임이 없다. 그분이 책임을 지시고, 나는 비서로서, 종으로서 그냥 그분을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 나는 지금까지 그런 자세로 공동체를 섬겨왔다.
나는 내가 섬기는 청년부가 내 공동체가 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래서 내 것을 내려놓는 작업을 철저하게 진행하려고 부단히 노력한다. 물론 인간이기 때문에 100% 그렇게 될 수는 없겠지만, 최대한 내려 놓는 가운데, 주님의 뜻을, 내 시각으로 왜곡되지 않은 순전한 뜻을, 받기를 간절이 원한다.
늘 그렇듯이 내 것을 내려 놓는 것은 고통이 수반된다. 하지만 그것이 바로 내가 져야할 나의 십자가이다. 그리고 사실 그것만이 내가 우리공동체를 위해서 해 줄 수 있는 유일한 것이다. 그것만 제대로 된다면, 나머지는 하나님께서 다 하신다. 그분이 주인이시기 때문에... 내가 지는 십자가를 통해서 주님이 우리 공동체의 주인으로 인정될 수만 있다면, 나는 기쁘게 그 십자가를 지겠다.
리더를 선발하는 이번 프로세스를 통해서 하나님께서 직접 세우시는 리더들이 세워지기만을 간절히 기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