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하나님의 음성이 들리기 시작한다. 정말 들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하나님이 나를 참 좋아하신다는 걸 깨닫는다. 하나님은 나를 사랑하시고, 나에게 말씀하신다. 하나님이 마련하신 잔치에 나타나면 하나님은 너무나 좋아하신다. 내 속 저 깊은 곳에서는 가끔 딴 세상의 음악 소리가 들려오고, 그 리듬은 내 안에 살아 있는 것한 것들을 남들에게 풀어 낸다. 정말 짜릿하다.
생애 처음으로 나는 기도를 좋아하게 되었다. 전혀 지루하지가 않다. 이제 관계형 기도, 즉 내가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이 나를 아는 그런 기도야말로 간청형 기도(내가 원하는 것을 구하는 기도)와 감사 기도(내가 받은 모든 복에 대해 하나님께 감사하는 기도)를 할 수 있는 참된 열정의 근원이 된다는 걸 알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는 나와 인격적인 관계를 맺기 원하신다. 나를 아시는 그분께서, 그분을 나에게 알리시고, 서로 "친한" 관계가 되기를 원하신다. 그분의 종이면서도 동역자이고, 자녀이면서도 왕되신 그분의 신하이며, 친구이면서도 피조물의 겸손을 유지하는 가운데, 더 친밀하고 가깝운 하나되는 관계를 원하신다.
하지만 내가 그분에게 다가가는 모습은 관계에 중점이 되어 있지 않고, 많은 경우 균형을 잃고 있다. 그분에게 이것저것 해 달라는 목록을 가지고 가서 그분에게 간구한다(많은 경우 왕되신 하나님께 협박성 부탁을 드리거나, 심지어 겸손과 공손을 가장한 명령을 내릴 때도 있다.). 그분이 내가 원하시는 대로 해 주시면 감사하고, 그렇지 않으면 불평과 원망이 가득하다. 그 모든 모습을 종합해 볼 때, 내가 하나님께 다가가는 것은 그분에게서 뭔가를 얻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좀 심한 말로 하면 그분의 전능하심을 이용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이다.
그런 내 모습이 얼마나 가증스럽고, 하나님 편에서 보시기에 가슴을 아프게하는 것인지, 하나님 입장에서 조금만 생각해 봐도 알 수 있다. 내가 인간 관계에서 가장 혐오하는 경우는 나에게 다가오는 사람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다가올 때이다. 나로부터 뭔가를 얻어낼 수 있다는 것 때문에 나의 인격과 나라는 사람에는 상관 없이 나에게 다가오며 친한 척하는 것. 속으로는 내가 혐오스러우면서도, 나와 같이 있고싶지 않으면서도, 나에게서 얻어낼 수 있는 그것을 바라며 친한 척 하는 것... 그런 관계를 지극히 혐오한다. 나에게서 원하던 것을 얻어낸 순간, 그 관계는 의미가 없어지고, 나로부터 등을 돌리게 마련이다.
내 신앙생활이 그런 모습이 아닌가? 하나님께 뭔가 얻어낼 필요가 있을 때는, 기도며, 묵상이며, 찬양이며, 하나님께서 좋아하실 만한 모든 것을 하면서도, 일단 내 필요가 모두 채워졌다고 생각하면, 그분을 잊어버리고 마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그분께 등을 돌리고 마는 그런 신앙... 그런 모습이 아닌가?
사실상 내가 그분을 필요로 하는 진정한 이유가, 하나님 외에는 절대로 채울 수 없는 내 안의 빈 곳 때문인데... 세상에 그 어떤 것으로도, 그 모든 것이 하나님의 능력에 의해 주어진 것이라 할지라도, 내 존재의 본성 가운데 그것들로는 결코 채워질 수 없는 그 것을 하나님만이 채우실 수 있고, 하나님과의 깊고 끊임없는 교제로만 채워질 수 있는 영적 궁핍함을 보지 못하고, 그저 세상적으로 내가 원하는 것들--평안, 기쁨, 감사, 물질적인 풍요, 정신적 안정, 종교적 채워짐 등등--을 채우고는 하나님으로부터 돌아서고 마는 그런 수준의 신앙이 바로 내 신앙이 아닌지 오늘 아침에 다시 돌아보게 된다.
오늘 아침에 하나님께 드린 기도 내용이 그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지 않는지... 하나님 당신을 구하기보다는 하나님의 사역들, 내 필요들에 집중된 그 기도가 내 신앙의 현주소를 나타내 준다.
내 기도의 대부분이 하나님 당신 자신을 구하고, 하나님 당신 자신을 누리고, 함께하는 것들로 채워지는 그날을 꿈꾼다. 그분과 너무 친하기 때문에 그분에 대해서, 그리고 나에 대해서 더 풍성한 이야기를 나누는 그런 기도의 시간을 꿈꾼다. 위에서 인용한 글대로 하나님과 "한 판의 춤"을 추는 기쁨의 시간, 그분 안에 거하는 시간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아직은 멀었지만, 하나님께서 나를 그 길로 인도하시길 간절히 기도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이 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