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학을 바라보며..,

대학들이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들이 되어 간다는 증거는 대학본부에서 "돈"에 대한 강조가 너무 많다는 것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소위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에서 진정한 교육에 대한 논의는 이미 사라졌고, 등록금 동결 혹은 인하와 신입생 감소에 따른 적자를 해결하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으로 모든 것을 돈의 문제로 환언해서 말하는 그런 논리가 지배적이다. 이윤추구가 최고의 목적인 기업과 별반 다를 바가 없는 모습이 되어 버렸다.
문제는 백번 양보해서 생존이 최고의 가치가 된 대학간 무한 경쟁 구도 속에서 적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돈이 최상의 가치가 되었다는 것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돈을 버는 것으로 조직을 살리는 기업의 경험이 없는 교수출신의 본부 관계자들이 보이는 너무나 아마추어적이고 기업 운영의 ABC도 모르는 행태는 가히 장탄식을 불러 일으킬만 하다. 기업으로서의 대학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그 조직이 가진 가장 핵심역량을 증대시키며, 비핵심부문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장 기본인데도 불구하고, 요즘 대학의 행태는 그에 대한 무지로 값을 톡톡하게 치렀던 1980년대의 기업들이 보인 행태의 답습 외에는 아무 것도 없다. 핵심부문의 역량을 지키는 것이 시장의 변동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유일한 방법이고, 그것이 손상되었을 때 기업의 생명이 치명적인 타격을 입음으로 인해서 회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는 것을 대학을 운영하는 관계자들은 완전히 무지한 것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더구나 대학은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 아니고 교육과 연구를 통해서 사회에 공헌하는 기관이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핵심역량인 학생교육과 교수의 연구환경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작금의 상황은 대학들로 하여금 경쟁에서 생존하게는 할지 몰라도 궁극에는 대학무용론의 폭탄을 맞을 것이다.
대학이 대학다움을 잃어버린다면, 대학의 존재 이유가 없이 않겠는가?
학생은 고객이나 머리수로 따지는 돈이 아니라, 그리고 기업에서 일시적으로 쓰고 버릴 부품이 아니라, 이 사회의 미래이다. 이들을 바르게 가르치는 것은 국가와 세계를 위한 일이다. 이들에게 비판적 사고, 종합적 사고, 치밀한 사고, 방대한 독서에서 나오는 넓은 관점을 가지도록 돕는 것은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는 확실한 길이다.
그것이 대학인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