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6.14. 작성)
어제 가게에서 일하고 있는데, 단골 손님이신 분이 찾아왔다. 해병대 하사관 출신으로 월남전에도 참전했던 분으로서 30년 전에 미국으로 건너와 여러 사업을 하시면서 산전수전 다 겪으신 분이다.
늘 그렇듯이 가게에 와서 해병대 후배인 가게 주인아저씨와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가게 주인아저씨는 미국에 온지 2년이 채 안되었기 때문에, 그 분은 올 때마다 미국에 정착하고 살아가는 여러 다른 한인들 이야기를 해주면서, 가게 주인아저씨에게 간접적으로 조언을 주곤 한다.
어제는 한국인으로서 미국에 와서 사업에 성공한 사람들 이야기를 했다. 주로 도너스 가게, 샌드위치 가게, 세탁소, 청소업 등을 하면서 일부는 많은 돈을 벌었다고 했다. 주로 미국인들이 힘들어서 하고 싶어하지 않은 일이지만, 그 일을 열심히 함으로써 많은 돈을 벌게 된 사람들의 이야기였다. 한국인은 역시 한국인... 많은 돈을 벌게된 그들은 그 돈을 부동산에 투자했다고 한다. 건물을 몇 채를 사거나 아니면 아파트 단지를 구입해서 월세를 받아서 편히 살아보고자 하는 욕심이었으리라... 그런데 그 분의 말이, 그런 투자를 한 사람들은 (적어도 내가 있는 오스틴과 텍사스에서) 거의 다 망하고 많은 돈을 잃었다.
그 이유인 즉슨, 바로 세입자들이 월세를 안내고 버티고 있기 때문이란다. 정확하게 이유는 설명할 수 없지만 (그 분은 동양인을 무시하는 풍조 때문이라고 해석했지만..) 백인이 주인으로 있을 때는 월세를 밀리는 일이 거의 없다고 했다. 꼬박꼬박 월세를 잘 내던 사람들이 주인이 동양인으로 바뀌면, 그 때부터 태도를 달리해서 심한 경우에는 1년치 월세를 밀리고도 아주 당당하게 버틸 정도라고 했다. 그럴 경우 강제로 끌어낼 방법이 없기 때문에 재판을 하게 되는데, 그 막대한 소송비용과 시간을 낭비해야하며, 설령 재판에서 이긴다 하더라도 그 동안의 밀린 월세는 받지도 못할 뿐더러, 강제 퇴거 당하는 세입자에게 나가서 1개월간 살 돈을 줘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많은 경우 월세를 밀려서 강제로 퇴거 당하는 경우 집안 시설물들을 아주 교묘하게 모두 파괴해 놓고 떠난다는 것이다...
동양인들이 주인이 될 경우 이런 일들이 너무 빈번히 발생해서 도저히 운영을 할 수 없을 지경이 되고, 결국은 막대한 손해를 보고 손들고 나올 수 밖에 없단다... 이렇게 해서 손해를 본 사람들이 부지기수라고... 이 이야기를 하던 그 손님도 역시 같은 피해자 중의 한 사람이란다.
이런 일은 심지어 대학 기숙사에도 적용되어서, 한 번은 UT 법대와 연계해서 운영하는 기숙사가 있는데, 그 동안 백인이 주인으로 운영되어 오선 기숙사였던 모양이다. 이 기숙사는 법대 학생 한 명에게 공짜로 방을 제공하고 그로 하여금 다른 후배들을 들어오게 하고 관리를 맡기는 그런 식으로 운영이 되기 때문에 주인은 월 한번씩 가서 월세만 받아오면 되는 그런 아주 좋은 조건의 사업이었다. 오랜 세월 동안 그런 식으로 쉽게 운영되어 오던 기숙사를 한국인 한 사람이 그 운영을 넘겨 받았는데, 그 이후로 월세가 걷히지 않고, 그 동안 운영되어 오던 시스템이 완전히 망가져서 도저히 운영을 감당할 수 없을 지경까지 되어 결국 그 사람도 이 사업을 포기했다는 소문이다...
이와 관련한 또 한 가지.. 오스틴 몇 년 전 수도국 국장은 필리핀 출신의 젊은 사람이었단다. 그 사람은 아주 명석한 두뇌의 소유자여서 젊은 나이에 박사학위를 받고, 그 능력이 탁월하여 오스틴의 수도국 총책임자로 발탁이 되었는데... 아시아계가 총책임자로 임명이 되자 그 아래 사람들(거의 대부분이 백인인)이 그를 완전히 왕따를 시키기 시작했다고... 어느 누구도 국장에게 보고도 하지 않고, 말도 건네지 않고, 말도 듣지도 않아서 도저히 업무를 할 수가 없었던 그는, 결국 부동산 사업에 뛰어들어 거기서 성공을 거두자 국장 일을 그만 두게 되고 사업가로 변신한 모양이다.
이 두가지의 작은 에피소드로 인해서 미국 전체를 판단할 수는 없다. 하지만 미국에서 아시아인으로 사는 것이 그리 녹록한 것만은 아닌 것은 분명하다. 내가 아는 한 한인 목사님은 그 젊은 시절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미국이 자신의 조국이고 자신은 분명히 미국인이라는 확신한 자아 정체성 가운데 대학까지 마쳤다. 하지만 그가 대학을 나와 접한 미국 사회에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 아닌 아시아인으로 인정되고 있느 것을 발견했고, 그로 인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많은 벽들이 존재하는 것을 깨닫고 많은 좌절을 경험한 끝에 하나님의 도움으로 그 좌절을 극복하고 목회의 길로 나섰다.
2차 대전 시절, 미국에서는 일본인들을 위한 캠프를 설치해서 일본인 이민자들을 모두 (1세대는 물론 4-5세대까지) 그 캠프에 몰아 넣었다. 그것은 그들이 일본 본국에 협력하며 미국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미국인들의 두려움 때문이었다. 그들에게 일본인들은 아무리 그들이 미국에서 오래 살았다 하더라도 이방인일 뿐이었다. 반면 독일계는 아무런 조치가 취해진 것이 없었다. 그들은 미국인들이었기 때문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이 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