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제 하나 더...

지난 주 토요일 밤에 정말 오랫만에 TV를 켰는데, 볼 만한 프로가 거의 없었다. 이리저리 채널을 돌리다가 어느 방송사의 유엔 사무총장인 반기문씨에 대한 프로에 시선이 멈췄다.

그가 어떻게 유엔 사무총장이 될 수 있었는가에 대해서 성공요인을 분석한 것이었다. 그 프로에서 꼽은 첫번째 요인이 바로 영어. 방송은 그의 영어가 매우 "유창하다"고 설명했다. 그 영어로 인해서 세상을 알게되고 세상에 자신의 존재를 알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영어로 말하는 그분을 보면서 오히려 나는 반대의 생각을 했다. 그분의 영어는 결코 유창하지 않았다. 적어도 발음으로 볼 때는... 요즘 젊은 세대의 기준으로 볼 때는 중하위권도 들 수 없을 만한 영어였다. 그분의 영어를 보면서 '저렇게 영어를 못하는데도 유엔 사무총장이 될 수 있구나!'하는 생각을 가졌다.

하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 볼 때, 그분이 결코 영어를 못하는 분이 아니었다. 오히려 어느 정도는 "유창했다." 무슨 말인가? 그것은 발음의 차원이 아니라 영어를 구사하는 차원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영어 발음은 영어의 작은 한 요소에 불과하다. 발음이 영어의 전부는 아니다. 결코 아니다. 오히려 중요한 부분도 아니다. 특별히 몇 개의 발음만 주의한다면 발음문제는 외국인으로서 충분히 봐 줄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단어와 문장의 구사력이다. 물론 반총장님의 영어에서 콩글리시의 흔적을 자주 볼 수 있었지만, 발음에 비해서 문장 구사력이 더 뛰어남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그의 "유창함"은 발음도, 문장 구사력에서 나온 것이 아니었다. 그분의 문장 구사력이 발음보다 뛰어나다고 하지만, 객관적인 기준으로 본다면 중간정도의 수준에 불과하다. 사실 그분의 영어실력이 특출나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세계의 이목이 그의 입에 집중되며 공감하며 감탄하는가? 그것은 영어라는 포장지에 실려 나오는 그분의 사상과 철학과 삶과 리더십이다. 결국 반총장님은 그분이 가진 그 무엇, 그 콘텐츠로 세상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이다. 세계 평화를 위한 그의 열정, 자신감, 그리고 그분의 인격에서 품어져 나오는 인간적인 매력과 리더십이라는 뛰어난 콘텐츠가 바로 그분의 영어를 차원이 다른 연설로 만드는 것이다.

영어 열풍에 빠져 있는 한국사회... 영어를 잘하는 사람들은 넘쳐나지만, 반총장님과 같은 그런 콘텐츠를 가진 사람을 찾아보기가 매우 드물다. 영어라는 포장지만 그럴듯하게 갖출 뿐, 그것으로 담아낼 그 뭔가를 부단히 배우고 또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이 없다. 영어라는 포장지에 담아낼 그 무엇이 없다면, 그 포장지는 휴지조각일 뿐이라는 것... 그것을 명심해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