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장으로서의 가장

성경적 원리로 볼 때 한 가정의 가장은 그 가정의 제사장이다. 제사장은 영적인 리더이며,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하는 자이다.
하나님께서 모든 가정의 남편/아버지를 가정의 제사장으로 세우셨다는 것은 모든 남자들은 가정의 영적 상황에 대해 하나님으로부터 책임추궁을 당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결코 쉽지 않은 무서운 책임이다. 그 책임이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졌기 때문에,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내 마음대로 양도할 수가 없다는 것이 더 두려운 것이다.

죄악으로 물들어 버린 이 세상에서 하나님께서 가정의 가장에게 허락하신 영적인 리더십은 왜곡되어 버렸다. 그 한 모습은 가정 가운데 군림하는 제왕으로서의 모습이다. 명령을 내리는 가장. 모든 것을 자기의 뜻과 욕심대로 관철시키고 마는 가장. 그 뜻대로 되지 않았을 때, 언어적/정서적/물리적 폭력을 행사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 가장. 그것은 죄악이다.
또 다른 한 모습은 그 리더십을 포기하는 것이다. 가정의 모든 문제는 아내에게 맡겨버리고, 자신은 바깥 일만 신경을 쓴다. 가정 내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아이들의 교육과 영적인 상황에 대해서 전혀 무지한 가장들. 현대 사회에서 너무나 흔히 볼 수 있는 이런 가장들의 모습은 결코 성경적인 것이 아니다.
두 가지 중 어떤 모습이든지 간에 그런 가장들로 인해서 가정의 영적 상태를 악화되어 갈 수 밖에 없다. 가장이, 남자들이 제사장으로서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제사장으로서의 가장은 어떤 모습일까? 그것은 먼저 자신이 하나님 앞에 나아가는 것이다. 제사장은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을 분명히 아는 자이다. 하나님 앞에서 자신이 종이라는 사실을 결코 부인하지 않는 자이다.

제사장으로서의 가장은 가정의 죄악들을 들고 나아가 회개하는 자이다. 이스라엘의 대제사장은 일 년에 한 번 씩 이스라엘의 민족적 죄악을 들고 하나님 앞으로 나아갔다. 가정의 죄악들, 그리고 가정 구성원의 죄악들을 들고 하나님 앞에 나아가 회개할 책임이 가장에게 있다.

그리고 가장은 하나님께 기도의 책임이 있다. 가정과 가정구성원들을 위해 중보기도하는 중보자로서의 책임이 있다. 지난 수련회 때 신인훈 목사님의 말씀 가운데 복음을 쉽게 받아들이는 사람 뒤에는 반드시 그를 위해 중보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말씀이 기억난다. 아내를 위해서, 그리고 아이들의 구원을 위해서 늘 기도함으로 그 아이들이 구원 가운데로 나아 올 수 있도록 돕는 것보다 더 중요한 일이 있을까? 하나님께서는 영적인 리더인 가장에게 그 책임을 맡기신다. 아이들을 위해 날마다 기도하지 않는 아버지는 가정 안에서 영적인 리더로서의 역할을 게을리하는 자다. 내가 날마다 기도 가운데 아이들의 구원을 위해 기도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나는 하나님께서 아내와 아이들을 위한 내 기도를  결코 잊어버리지 않으실 것으로 믿는다.

제사장으로서의 가장은 섬기는 자이다. 가정의 영적인 성장을 위해서, 낮은 곳에서 아내와 아이들을 섬기면서 그들이 하나님께로 인도되도록 돕는 자이다. 그들이 하나님께로 나아가는 데 걸림돌이 되는 모든 장애물들을 낮은 곳에서 섬기는 섬김으로 제거해 나아가는 자이다. 예수님께서 분명히 보여 주셨듯이 하나님 나라의 삶의 원리는 리더가 가장 낮은 곳에서 섬기는 것이다. 그 원리가 가정 안에서 분명히 실천될 때, 그 가정에 하나님 나라가 임한다.

제사장으로서 가장은 하나님의 뜻이 아닌 것에 대해서 분명한 목소리로 "No!"라고 외칠 수 있는 자이다. 이 역할은 제사장보다는 선지자에 가깝다. 제사장은 중재자이다. 많은 경우 백성들을 대표해서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이지만, 때로는 하나님을 대신해서 백성들에게 나아가기도 해야한다. 가장이 하나님의 말씀에 바로 선 가운데 가족 구성원들에게 그 말씀을 분명하게 선포할 책임이 있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바르게 훈육해야할 의무가 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가정의 가장은 반드시 말씀에 깨어 있는 자이어야 하고, 말씀을 연구하는 자이어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남자를 한 가정의 영적 리더로 세우셨다. 그것은 특권이기도 하지만, 감당하기 버거운 의무이기도 하다. 이 무게 때문에 이 역할을 회피해서는 안된다. 하나님을 더욱 의지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받는다면, 리더의 역할은 자연스럽게 그 삶 가운데 이루어질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이 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