쓴소리...

공자가어(孔子家語)의 육본편(六本篇)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良藥苦於口 忠言逆於耳(양약고어구 충언역어이)

그 뜻은 "좋은 약은 입에 쓰고, 충신의 말은 귀에 거슬린다"는 뜻이다. 좋은 약은 입에는 쓰지만 몸에는 좋고, 충신의 말은 귀에는 거슬리지만 그 말을 받아서 따르면 나라가 잘된다는 말이다.

이 말은 듣는 사람 입장에서 주는 교훈이다. 예나 지금이나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말은 듣기에 좋지 않다는 것이 진리인가보다. 들을 때 기분이 나쁘더라도 그 기분에 따라서 반응하지 말고, 그 말에서 진정으로 나에게 도움이 되는 진실이 있는지를 차분하게 생각해 보라는 성현의 충고이다. 사실 잘 알기는 하지만, 나만 보더라도 감정이 앞서는 가운데 어리석은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더 많다는 사실을 볼 때 따르기에 쉽지 않은 조언이다.

그런데 이 말은 또한 충고를 하는 입장에서도 곰곰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 말이다. 누군가에게 쓴소리를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현대의 인간관계에서는 좀처럼 (비난이나 정죄가 아닌) 쓴소리를 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그것은 그만큼 인간관계가 피상적이 되어버렸다는 것과, 인간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마음이 약화 되었음을 보여준다. 만약 내가 누군가를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그리고 그 대상이 자기 스스로에게 해가 되는 행동을 하는 것을 내가 본다면, 상대가 듣기 거북해 한다고 하더라도 쓴소리를 하는 것이 진정을 그 상대방을 위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내가 누군가에게 주는 "쓴소리"가 그 사람에게 상처를 주고, 그로 하여금 힘들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약"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 참 쉽지 않은 문제이다. 쓴소리는 그 단어 자체가 이미 상대방의 감정을 상하게 하는 것을 전제로하고 있기 때문에 모순처럼 들린다. 어떻게 해야할까?

사실, 나도 잘 모른다. 그 답을 알고 있는 사람이 있을까? 하지만, 나에게 원칙은 있다. 그것은 바로 내가 그 상대방이 잘되는 것을 진정으로 바라는 마음이 내 안에 있는지, 그리고 그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는지, 마지막으로 그 말을 하는 내가 충분히 겸손한지를 판단한 뒤에 그 모든 것이 'yes'라고 답이 될 때에만 사전에 충분한 기도와 준비 가운데 그 쓴소리를 하는 것이다.
상대방이 진정으로 잘 되는 것을 바라는 간절한 마음이 없다면, 내 입에서 나오는 쓴소리는 단순히 비방과 비난에 불과하다. 비방과 비난은 상대에 대한 감정적, 인격적 모독이며 공격일 뿐이다. 그 내용이 아무리 바르고 정당한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상대로 하여금 깊은 상처를 줄 뿐, 그 사람에게 덕이 되게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상대방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면, 그 인격 자체를 내 가슴에 품는 마음이 없다면, 다시 말해 상대에 대한 미워하는 감정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그 쓴소리는 그저 돌을 던지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결국 그 사람에게 의미가 없거나 상처를 남길 뿐이다.
쓴소리를 하는 내가 충분히 겸손하지 않다면, 다시 말해서 상대방을 가르치려고 들거나, 내가 너보다 더 낫다는 식의 태도를 가지고 훈수를 두려고 한다면,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 메시지가 전달되기 전에 마음을 닫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 내용이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 하더라도, 그 사람을 위해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진심으로 상대방을 위하고, 사랑한다면 쓴소리를 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내 입에서 나오는 모든 쓴소리가 반드시 그 사람을 위하고 사랑하는 것이 되지는 않는다. 쓴소리를 하는 사람은 반드시 이 점을 명심해야 한다.

영적인 공동체에서 리더로 섬기면서, 쓴소리를 해야할 필요가 가끔씩 생긴다. 그럴 때면 나는 쓴소리를 해야하는지에 대한 갈등 가운데 기도한다. 하나님께서 내 입술을 주장해 달라고... 그리고 내 내면의 상태를 살피며, 진정으로 내가 쓴소리를 할 준비와 자격이 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하나라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쓴소리를 하는 것보다는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이 더 유익하다. 만약 모든 것이 준비가 되어 있다면, 반드시 "사전에 준비된 상태에서" 쓴소리를 한다. 그렇게 전달되는 쓴소리는 (듣는 사람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많은 경우 그 마음이 전달되기 때문에 영혼을 변화시키는데 쓰임을 받는다. 거기까지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다.

이것이 적어도 아직까지는 "쓴소리"를 하는 것에 대한 나의 원칙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이 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