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에 밥을 먹으며 참으로 오랫만에 TV를 켰다. CNN 뉴스를 보고 있는데, 내가 좋아하고 존경하는 Ray Comfort가 인터뷰에 나왔다. 뉴스 내용은 다윈의 "종의 기원"에 기독교 단체에서 다윈의 진화론을 반박하는 긴 서문(Ray Comfort가 썼다)을 붙여서 책으로 발간했고, 그것을 대학가에서 무료로 나누어 주고 있다는 것이다.
진화론을 전혀 믿지 않는 나로서는 참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과학을 가장한 신화와 허구에 불과한 이론을 진리인 것처럼 가르치는 현대의 세태에 하나님의 창조에 의한 인간과 만물의 존재를 주장하며 그것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은 적절해 보인다.
하지만 문제는 Ray Comfort의 서론이 학문적으로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실 나는 아직 읽어보지 않았고 뉴스만 들었기 때문에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그러나 몇몇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서 볼 때, Comfort의 주장이 비판에 노출될만 한 것 같다.
뉴스에서 나오는 전문가들의 말로 판단해 볼 때, Comfort는 다윈의 진화론을 순수 과학적인 접근법으로만 비판한 것은 아닌 것같다. 그의 진화론이 사회, 정치적으로 미친 영향에 대해서 논하고 그것에 대해서 신랄한 비판을 가한 것으로 보인다.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는 과학적 진화론과 Social Darwinism을 혼동하고 있는 것을 보인다. 사실 현대 사상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것은 다윈의 진화론이 아니라 Herbert Spencer의 Social Darwinism이다. 둘은 어느 정도는 관계가 있지만, 상당히 다른 것이며, 따라서 다른 접근법을 사용해야 한다. Comfort는 이 점을 간과한 것 같다.
여기서 내가 말하고 싶어하는 요지는, 세상의 학문과 사상체계는 세속적이고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지 않기 때문에 마땅히 비판받아야하고, 진리이신 말씀이 그 가운데서도 선포되어야 하지만, 그것들을 만만하게 봐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자칫 무모하게 비판을 하다가는 풍차를 향해 돌진하는 돈키호테와 같은 꼴이 되어버리고 말고, 또한 세상의 웃음거리가 됨으로 기독교가 마치 천박하고 경박한 사상인 것처럼 인식되어버릴 수 있다.
어떤 주장과 사상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반박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주장하는 자들만큼, 아니 그들보다 더 그 주장과 사상에 대해서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그들의 논리와 언어와 가정과 무엇보다도 그들 가운데서 오고가는 대화의 장(discourse)혹은 paradigm에 대해서 철저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그들에게는 새로운 진리의 말씀에 근거한 비판이 "적절하고 설득력 있게" 가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세상은 가볍게 거부해 버리고 만다.
그것이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세상의 학문과 지식을 배워야 하는 이유이다. 그들 중의 하나로 인정받아야 하는 이유이다. 철저히 그들이 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적어도 학문에 있어서 그들 중 하나로 인정받고, 그들 가운데서 실력을 인정받지 않는다면, 아무리 말씀에 근거한 주장과 비판을 가해도 그들은 가볍게 무시하고 만다.
지난 주일에 이 문제로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한 지체와 깊이 있게 대화를 나누었다. 신앙과 학문(특히 인문학과 사화과학)이 언뜻 보기에는 별개의 것으로 보이고, 믿음이 "좋은" 사람들은 세상의 지저분하고 더러운 학문 속을 발을 담그지 말고 아예 떨어져 있어야 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사실이지만, 우리는 그 영역조차도 하나님의 통치가 이루어지는 영역이 되어야 함을 믿는다. 그곳에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깃발을 꼽아야 하는 자들이 바로 그 학문에 종사하고 있는 그리스도인이라는 것을 믿는다. 그것을 위해서 우리는 열심히 공부해야 하며, 그들과 대화가 되고, 그들의 인정을 받는 정도까지 학문적 진보를 이루어야 한다. 바로 그 때에야 비로소 그리스도인으로서의 학자,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지성인의 목소리를 세상을 향하여 낼 수 있는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이 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