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하루 종일 논문을 썼다. 그래 봐야 얼마 쓰지 못하긴 했지만, 그래도 논문에 약간의 진척이 있었다.
나는 논문을 쓰는데, 나만의 방법을 사용한다. 글 전체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 글자를 최대한 작게하고, 줄간격을 다닥다닥 붙인 후 한 페이지를 두 단으로 나뉘게 해서 한 페이지에 최대한 많은 글이 들어가도록 해서 글을 쓴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표준적인 틀이 있지만, 그 틀을 사용하다보면 논문이 한눈에 들어 오지 않아서, 방향을 잃고 이리저리 헤매다니기 쉽상이기 때문이다.
오늘 불현듯 생각이 떠올라 계산을 해 보니, 내가 쓰는 포맷으로 할 때, 30페이지에서 50페이지를 작성하면 박사 논문이 완성되는 것으로 계산이 되었다. 학교의 박사논문 포맷으로 할 때, 지금 한 페이지가 약 8-9페이지 정도가 되기 때문이다. 30페이지를 작성하면 240-270페이지가 되는 것이고 50페이지를 작성하면 400-450페이지 정도가 된다. 우리 과에서는 졸업생들이 주로 400페이지 정도를 작성하는 것을 생각할 때, 나도 그 정도로 하고 싶지만, 최대한 빨리 졸업해야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250페이지 선에서 끝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그렇게 하면, 졸업하고 나서 책으로 출판할 때까지 훨씬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하고 고생하겠지만, 그래도 졸업을 늦추는 것보다는 낫지 않나 생각된다.
250페이지를 써야 한다는 생각을 하면, 앞이 막막해 지고, 언제나 끝을 보려나하는 생각에 힘들어지는데, 지금 내가 쓰고 있는 포맷으로 30페이지만 넘기면 된다고 생각하니, 해볼만 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거나 저거나 사실 같은데, 느낌이 다르다. 조삼모사의 착각인줄은 알지만, 마음 상태가 다른 것은 어쩔 수 없다.
30 장만 쓰면 되는데...
사실 지금 쓰는 글의 포맷으로 볼 때, 두 장이 한 수업의 term paper에 맞먹는다. 그렇다면, term paper를 15개 쓰는 것과 맞먹고, 그것은 5학기의 term paper의 분량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장난이 아닌 분량이고, 또 그 15개의 term paper를 하나의 논지 하에서 일관되게 작성해야 한다는 것을 생각할 때 더 어려워진다. 그리고... 오늘은 글이 특이하게 매우 잘 써지는 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반 페이지를 채우는데 그쳤다.
하지만, 30페이지만 생각하련다. letter size 30 장만 채우면 졸업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기도하면서, 하나님께서 그 페이지들을 채워 주실 것을 기도하며 열심히 써 나가야지...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이 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세요.